생명정보 교육지원
KOBIC 집합 교육 (차세대 생명정보학 교육 워크샵) 개요
KOBIC은 국내 생명과학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생명정보학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 연구자분들을 대상으로
KOBIC 차세대 생명정보학 교육 워크샵을 지난 2010년부터 개최해오고 있습니다.
본 워크샵은 매회 약 30~50명의 교육생을 선발하여 실시하는 단기(2~4일)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교육 워크샵 블로그
신청 방법
교육 장소
KOBIC 집합 교육 실적
2010년 이후 총 43회의 KOBIC 차세대 생명정보학 교육 워크샵 개최 ⇨ 1,519명 수강생 배출
← 좌우로 스크롤해주세요 →
차수 | 연도 | 일자 | 교육주제 | 교육인원 |
---|---|---|---|---|
43 | 2021 | 11. 11. 및 11. 18. | 전사체,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 교육 | 57 |
42 | 2019 | 12. 02. - 12. 04. | 생명정보학을 위한 R 프로그래밍 | 49 |
41 | 2019 | 08. 20. - 08. 21. | 생물학자를 위한 인공지능 기초 교육 | 13 |
40 | 2018 | 12. 10. - 12. 11. | Python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 28 |
39 | 2018 | 09. 17. - 09. 18. | 최신 유전체 정보 분석 교육 | 26 |
38 | 2018 | 01. 24. - 01. 26. | 후성유전체 정보 분석 및 응용 | 37 |
37 | 2017 | 11. 30. - 12. 01. | R을 활용한 데이터 통계 분석 및 시각화 | 30 |
36 | 2017 | 10. 24. - 10. 25. | 데이터 과학을 위한 파이썬 기초 | 26 |
35 | 2017 | 07. 24. - 07. 25. | 환경 유전체 분석에 대한 이론 및 실습 | 30 |
34 | 2016 | 10. 20. - 10. 21. | R 기초교육 및 유전체 데이터 분석 실습 | 27 |
33 | 2016 | 08. 24. - 08. 26. | 데이터 과학을 위한 파이썬 기초 | 30 |
32 | 2016 | 07. 21. - 07. 22. | 생물학자를 위한 리눅스 기초 교육 | 30 |
31 | 2016 | 04. 20. - 04. 22. | 유전체 데이터 분석과 질병 연구 | 30 |
30 | 2016 | 02. 22. - 02. 24. | 미생물 유전체 및 대사회로 분석 | 30 |
29 | 2015 | 12. 14. - 12. 26. | 식물 유전체 데이터 분석 및 활용 | 30 |
28 | 2015 | 10. 12. - 10. 14. | 미생물 유전체 및 대사회로 분석 | 28 |
27 | 2015 | 08. 17. - 08. 20. | Linux 및 Python을 이용한 생물정보 이해 | 30 |
26 | 2015 | 05. 06. - 05. 08. | Transcriptome assembly 분석 | 29 |
25 | 2015 | 04. 01. - 04. 03. | R을 활용한 공개 및 NGS 기반 유전체 자료 분석 실습 | 30 |
24 | 2015 | 02. 25. - 02. 27. | Public 온라인 툴을 이용한 NGS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 | 30 |
23 | 2014 | 11. 26. - 11. 28. | NGS 데이터의 기본 분석 및 RNA-seq 분석 | 30 |
22 | 2014 | 10. 06. - 10. 08. | Linux 및 Python을 이용한 생물정보 이해 | 30 |
21 | 2014 | 05. 13. - 05. 14. | 시스템생물학 분석교육 (Biological Network Analysis) | 25 |
20 | 2014 | 04. 05. - 04. 05. | Linux 기반 전사체(RNA-seq) 데이터 분석 | 30 |
19 | 2014 | 01. 20. - 01. 21. | RNA-seq 기반 전사체 분석 | 28 |
18 | 2013 | 11. 27. - 11. 29. | 유전체 분석과 시각화를 위한 R 언어 실습 | 31 |
17 | 2013 | 08. 12. - 08. 14. | NGS 기반 유전체, 전사체 분석 | 29 |
16 | 2013 | 04. 29. - 05. 03. | 차세대시퀀싱 정보분석 교육 | 42 |
15 | 2013 | 03. 25. - 03. 28. | Linux, SQL, R, Python을 활용한 생명정보 분석교육(기초과정) | 52 |
14 | 2013 | 01. 28. – 01. 31. 02. 13. – 02. 15. |
R 언어를 이용한 Multi-omics 자료 통합분석 | 64 |
13 | 2012 | 12. 05. - 12. 07. | 시스템생물학 분석교육 | 30 |
12 | 2012 | 10. 29. - 10. 31. | RNA-Seq 및 NGS 데이터 분석 교육 | 40 |
11 | 2012 | 08. 27. - 08. 28. | 희귀질환/암유전체 Exome 분석 중급 교육 | 23 |
10 | 2012 | 07. 30. - 08. 03. | 생명정보 실무를 위한 프로그램 교육 (Linux, Python, MySQL, R) | 80 |
9 | 2012 | 05. 16. - 05. 18. | 네트워크 생물학: 시스템 생물학에서 네트워크 분석 | 40 |
8 | 2012 | 03. 26. - 03. 30. | 생물학자를 위한 생물정보 기초교육 | 40 |
7 | 2012 | 02. 27. - 02. 29. | 네트워크 생물학: 시스템 생물학에서 네트워크 분석 | 30 |
6 | 2011 | 12. 19. - 12. 23. | 차세대 시퀀싱(Next-Generation Sequencing) 정보 분석 | 40 |
5 | 2011 | 10. 31. - 11. 04. | 차세대 시퀀싱(Next-Generation Sequencing) 정보 분석 | 50 |
4 | 2011 | 08. 29. - 09. 01. | 생명정보 분석을 위한 기초 프로그래밍 교육 | 30 |
3 | 2011 | 02. 16. - 02. 16. | Advanced Ensembl Cource - API & de novo Assembly - Curtain | 26 |
2 | 2010 | 12. 02. - 12. 03. | 마이크로어레이와 NGS를 이용한 암유전체 데이터 분석 | 35 |
1 | 2010 | 10. 22. - 10. 23. | 차세대시퀀싱(NGS) 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 | 74 |